본문 바로가기
정기안전보건교육 노트

정기안전보건교육 - 위험성평가

by BelleEpoque 2024. 11. 12.
반응형

위험성평가
(정답은 노란색)


1. 위험성평가 기록은 보존하지 않아도 된다.(OX문항)
O
X 

2. 체크리스트법에서 체크리스트가 작성자의 주관적인 생각으로 작성되어서는 안된다.(OX문항)
O
X

3. 다음 중 위험성평가의 핵심 포인트와 거리가 가장 먼 것은?(객관식)
① 유해위험요인의 파악
② 근로자 참여
③ 주변 관공서의 위치
④ 결과의 공유

4. 다음 위험성평가의 실시 주체에 대한 설명 중 틀린 것은?(객관식)
① 사업주는 안전하고 건강한 사업장을 만들기 위한 위험성평가의 책임자가 되어야 한다.
② 위험성평가는 사업주 또는 사업장의 담당자가 단독으로 수행할 수 없다.
③ 경우에 따라 특정분야 전문가의 도움이 필요할 수 있으며, 외부 기관의 컨설팅을 받을 수도 있다.
④ 도급 사업주는 위험성평가를 할 필요가 없다.

5. 다음 위험성평가의 대상에 대한 설명 중 옳지 않은 것은?(객관식)
① 위험성평가는 기본적으로 사업장 내의 모든 유해∙위험요인을 파악하여 개선하기 위해 실시한다.
② 비정형∙임시∙수시 작업은 위험성평가 대상에 포함되지 않는다.
③ 매우 경미한 부상 및 질병만을 초래할 것으로 명백히 예상되는 유해∙위험요인은 위험성평가의 대상에서 제외할 수 있다.
④ 동일한 작업인 경우 묶어서 위험성평가 대상으로 선정할 수 있다.

6. 위험성평가 실시 시기에 대한 내용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(객관식)
① 최초평가에서는 주요 작업만을 대상으로, 제한적으로 위험성평가를 실시해야 한다.
② 상시평가는 유해위험요인이 자주 변동하여 일일이 수시평가를 실시하기 어려운 경우를 위해 도입되었다.
③ 사업장 건설물의 설치·이전·변경·해체 시에는 수시평가를 실시한다.
④ 정기평가는 매년 정기적으로 실시한다.

7. 위험성평가를 할 때 사업장에서 사고를 일으킬 수 있는 유해위험요인이 무엇인지 찾아내는 과정이 가장 중요하다(OX문항)
O
X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