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정답 노란색
1. 직업병의 개념으로 올바른 것은?(객관식)
① 비직업적 요인
② 개인의 유전적인 질환
③ 가정에서 나타나는 질환
④ 직업에 관련된 유해인자에 노출된 근로자에게 발생
2. 업무상 질병의 특징으로 잘못 설명한 것은?(객관식)
① 직업적 유해인자가 병을 일으키는 원인
② 인체에 대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은 새로운 물질이 다수
③ 임상적 또는 병리적 소견이 일반 질병과 구분하기 어려움
④ 비직업적 유해인자가 단독으로 작용하여 발생
3. 직업병(업무상 질병)은 작업환경에서 유해인자에 노출된 근로자에게 발생한다.(OX문항)
O
X
4. 작업관련성 질병은 직업적 유해인자가 비직업적 요인과 함께 작용하여 발병한다.(OX문항)
O
X
5. 소음작업이라고 설명할 수 있는 것은?(객관식)
① 1일 8시간 기준 85dB(A) 이상
② 1일 8시간 기준 2dB(A) 이상
③ 1일 8시간 기준 4dB(A) 이상
④ 1일 8시간 기준 6dB(A) 이상
6. 고열환경에서 열사병으로 인한 건강장해로 맞는 것은?(객관식)
①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 손실
② 뇌의 온도 저하
③ 피로회복
④ 체온저하
7. 열경련은 고온환경에서 심한 육체노동으로 발한, 탈수, 염분 손실 되는 증상을 말한다.(OX문항)
O
X
반응형
'정기안전보건교육 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업보건개론 (1) | 2024.11.13 |
---|---|
산업안전개론 (0) | 2024.11.13 |
심폐소생술 및 AED (1) | 2024.11.12 |
선제적안전관리시스템, 리질리언스(Resilience,회복탄력성) (0) | 2024.11.12 |
리스크와 안전관리 (1) | 2024.11.12 |
댓글